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1.유효접지
1선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상규대지전압의 1.3배이하가 되도록 하는 접지 방식으로
직접접지가 해당되며 그조건은 다음과 같다
2.비유효접지
비접지 방식 저항접지방식 및 소호리액터 접지방식
3.저항접지방식
고저항접지 R=100~1000 정도
저저항접지 R=30 정도
4.비접지 방식
지락전류
①특징 33kV이하 계통에 적용
②변압기 결선을 델타-델타 로 할수 있어 변압기 1대 고장시 V-V 결선으로 송전
③1선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아주 적어서 그대로 송전가능
5.직접접지방식
(1)지락전류
선로의 저항 R을 무시하면
전압보다 90도 늦은 전류
(2)특징
①22.9kV 154kV 345kV 765kV 계통에 적용
②1선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압 상승은 거의 없다
③선로및 기기의 절연레벨을 낮출수 있다
④보호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
⑤지락전류가 저 역율의 대 전류이므로 과도 안정도가 나빠진다.
⑥지락고장시 통신선에 전자유도장해를 크게 미친다
6.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1)원리 : 선로의 대지정전용량과 병렬공진하는 리액터를 이용하여 중성점을 접지
(2)지락전류 : 1선 지락고장시 고장점에는 극히 작은 손실전류만이 흐른다
(3)소호 리액터의 크기
① 변압기의 임피던스
를 고려하지 않는경우
② 변압기의 임피던스
를 고려하는경우6+9
(4)합조도
7.접지방식별 특성비교
(1)지락전류의 크기 : 직접접지>고저항접지>비접지>소호리액터접지
(2)지락과전류고장시 통신선의 유도장해 : 직접접지>고저항접지>비접지>소호리액터접지
(3)지락고장시 전위상승 : 소호리액터접지>비접지>고저항접지>직접접지
(4)과도안전도 : 소호리액터접지>비접지>고저항접지>직접접지
8.중성점의 잔류전압
연가를 완벽하게 하여 의 조건이되면 잔류전압은 0이된다.
9.유도장해
(1)정전 유도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
(2)전자유도 :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 M에 의해 발생
전자유도전압 :
(3)고조파유도 : 고조파의 유도에 의한 잡음 장해
-----------
전력공학
http://www.pluswithu.com/346 1.송전계통
http://www.pluswithu.com/347 2.다도체정수와 코로나
http://www.pluswithu.com/349 4.중성점 접지와 유도장해
http://www.pluswithu.com/350 5.고장계산법
http://www.pluswithu.com/351 6.전력계통의 안정도/이상전압 방호대책
http://www.pluswithu.com/352 7.보호계전기/발배전기
http://www.pluswithu.com/354 9.수력발전
'전기기사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공학 6.전력계통의 안정도/이상전압 방호대책 (0) | 2017.02.05 |
---|---|
전력공학 5.고장계산 (0) | 2017.02.04 |
전력공학 3.송전 (0) | 2017.02.01 |
전력공학 2.다도체정수와 코로나 (0) | 2017.01.31 |
전력공학 1.송전계통 (0) | 2017.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