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도체와 선로정수 및 코로나
1.선로정수 : R L C G 의 4가지 정수
2.단도체 방식과 비교한 복도체 방식의 장 단점
①코로나 임계전압 상승
②선로의 정전용량 증가
③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④선로의 송전용량증가
3.전선의 저항
4.t℃에서의 저항값
5.표피효과
주파수가 높을수록 도전율이 높을수록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두께
가 감소하므로
표피효과는 증대되어 도체의 실효 저항이 증가한다.
6.인덕턴스(L)
(1)단도체 인덕턴스
(2)n도체 인덕턴스
(3)작용인덕턴스
7.정전용량 
(1)단도체 정전용량
(2)n도체 정전용량
(3)단상 1회선인 경우 작용정전용량
(4)3상 1회선인경우 작용정전용량
(5)3상2회선인경우작용정전용량
(6)3상 1회선인 경우 대지 정전용량
(7)충전전류
(8)전선로의 충전용량 :
(9)비접지방식에서의 1선지락전류
8.연가
(1)연가의 목적 : 선로정수의 평형
(2)연가의 효과 : 직렬공진방지 , 유도장해 감소 , 선로정수평형
9.페란티현상
(1)현상 :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2)발생원인 :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선 충전전류가 흘러서 발생
(3)페란티현상 방지 대책
①수전단에 분로리액터설치
②동기조상기의 부족여자 운전
10.공기파열극한 전위 경도
(1)DC 30kV/cm
(2)AC 21kV/cm 실효값=최대값/2=21.2kV
11.코로나
(1)코로나 임계전압
(2)코로나방지대책
①전선의 지름을 크게 한다
②복도체를 사용한다
③가선금구를 개량한다
(3)코로나 손실
-----------
전력공학
http://www.pluswithu.com/346 1.송전계통
http://www.pluswithu.com/347 2.다도체정수와 코로나
http://www.pluswithu.com/349 4.중성점 접지와 유도장해
http://www.pluswithu.com/350 5.고장계산법
http://www.pluswithu.com/351 6.전력계통의 안정도/이상전압 방호대책
http://www.pluswithu.com/352 7.보호계전기/발배전기
http://www.pluswithu.com/354 9.수력발전
'전기기사 > 전력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공학 6.전력계통의 안정도/이상전압 방호대책 (0) | 2017.02.05 |
---|---|
전력공학 5.고장계산 (0) | 2017.02.04 |
전력공학 4.중성점접지와 유도장해 (0) | 2017.02.03 |
전력공학 3.송전 (0) | 2017.02.01 |
전력공학 1.송전계통 (0) | 2017.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