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전력공학 4.중성점접지와 유도장해 중성점 접지방식과 유도장해 1.유효접지 1선지락사고시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상규대지전압의 1.3배이하가 되도록 하는 접지 방식으로 직접접지가 해당되며 그조건은 다음과 같다 2.비유효접지 비접지 방식 저항접지방식 및 소호리액터 접지방식 3.저항접지방식 고저항접지 R=100~1000 정도 저저항접지 R=30 정도 4.비접지 방식 지락전류 ①특징 33kV이하 계통에 적용 ②변압기 결선을 델타-델타 로 할수 있어 변압기 1대 고장시 V-V 결선으로 송전 ③1선지락사고시 지락전류가 아주 적어서 그대로 송전가능 5.직접접지방식 (1)지락전류 선로의 저항 R을 무시하면 전압보다 90도 늦은 전류 (2)특징 ①22.9kV 154kV 345kV 765kV 계통에 적용 ②1선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압 상승은 거의 없다 ③선로.. 더보기
전력공학 3.송전 송전특성 1.송전선로의 구분 구분 거리 선로정수 회로 단거리 수Km R L만 고려 집중정수회로 중거리 수십Km R L C 만 고려 T회로 π회로 장거리 수백Km R L C G 고려 분포정수 회로 취급 2.단거리 송전선로 (1)3상송전전압 (2)단상송전전압 (3)전압강하 (4)최대전압을 발생시키는 상차각 (5)전압강하율 (6)전압변동율 (7)전력손실률 3.중거리 송전선로 T 회로 파이회로 4.장거리 송전선로 (1)특성(파동)임피던스 선로의 특성임피던스는 선로의 저항(R)과 누설콘덕턴스(G)를 무시하면 어드미턴스 Y : 개방시험 임피던스 Z : 단락시험에서 측정 (2)전파정수 (3)서지파의 진행속도 5.4단자 정수 (1) (2) (3)AD-BC=1 (4)A=D 6.T형회로 7.파이형 회로 8.전력원선도 (1.. 더보기
전력공학 2.다도체정수와 코로나 다도체와 선로정수 및 코로나 1.선로정수 : R L C G 의 4가지 정수 2.단도체 방식과 비교한 복도체 방식의 장 단점 ①코로나 임계전압 상승 ②선로의 정전용량 증가 ③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④선로의 송전용량증가 3.전선의 저항 4.t℃에서의 저항값 5.표피효과 주파수가 높을수록 도전율이 높을수록 투자율이 클수록 표피두께가 감소하므로 표피효과는 증대되어 도체의 실효 저항이 증가한다. 6.인덕턴스(L) (1)단도체 인덕턴스 (2)n도체 인덕턴스 (3)작용인덕턴스 7.정전용량 (1)단도체 정전용량 (2)n도체 정전용량 (3)단상 1회선인 경우 작용정전용량 (4)3상 1회선인경우 작용정전용량 (5)3상2회선인경우작용정전용량 (6)3상 1회선인 경우 대지 정전용량 (7)충전전류 (8)전선로의 충전용량 : (9.. 더보기
전력공학 1.송전계통 송배전계통의 구성 1.교류송전방식의 장점 ⑴전압의 승압, 강압이 용이하다 ⑵회전자계를 얻을수있다. ⑶일관된 운용을 기할수 있다. 2.직류송전방식의 장단점 (1)장점 ①절연레벨을 낮출수 있다 ②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안정도가 높다 ③유전체손과 무효전력이 없으므로 이로인한 손실도 없다 ④표피효과나 근접효가가 없으므로 실효저항의 증가가 없다 ⑤주파수가 다른교류 계통과 연계가 가능하다 ⑥코로나 손실이 적고 충전전류가 없다. (2)단점 ①직,교류 변환장치가 필요하다 ②전압의 승 강압이 안된다 ③고주파나 고조파억제 대책이 필요하다 ④직류차단이 어렵다. 3.전압의 종류 (1)공칭전압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며 그 계통의 송전전압을 나타낸다 (2)최고전압=공칭전압/1.1*1.15 4.경제적인 송전전압 송전.. 더보기
KB 리브메이트 카드 리브메이트카드 KB 리브메이트 카드 혜택 카드혜택율 연회비 국내 전가맹점 0.7%적립 모든페이로 결제시 추가 1.3% 적립 커피,음식,휴대폰 대중교통,여행 가맹점 추가 1.3% 적립 해외이용금액캐시백 2% 실적조건 30만원 최대 혜택율 2.0% 국내전용 12000원 마스터 15000원 추천사용자 삼성페이사용자 비추천 사용자 30만원미만사용자 포인트적립 제외대상 상품권 및 선불카드 구입·충전금액, (부분)무이자할부 이용금액, 각종 세금 및 공과금, 대학(대학원)등록금, 아파트관리비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 장기카드대출(카드론), 각종 수수료 및 이자, 연체료, 연회비, 취소금액 실적금액 제외대상 상품권 및 선불카드 구입·충전금액, 대중교통 이용 등 무승인전표, 각종 세금 및 공과금, 대학(대학원)등록금,.. 더보기
KB국민 모바일101카드 KB국민 모바일101카드 국민카드가 삼성페이 사용자를 타겟으로 만든 모바일카드입니다. 할인율은 5%정도이지만 할인적용의 제한 이 거의 없는 카드입니다. https://goo.gl/6vVHIE 혜택 카드혜택율 연회비 삼성페이 5% 청구할인 (3천원/5천원) 위메프 5% 청구할인 (3천원/5천원) 티머니 5% 결제계좌환급 (2천원/3천원) 통신요금1만원이상 결제시 할인 (2천원/3천원) 전월실적 전월20만원/전월50만원 혜택금액 16만원(8000/5%) +1만원 26만원(13000/5%)+1만원 최대 혜택율 2.7% (1만원/37만원) K-WORLD 1000원 마스터 비자 2000원 추천사용자 삼성페이 사용자 비추천 사용자 비 삼성페이 사용자 실물카드 없는 모바일전용카드 실적금액 제외대상 상품권 및 선불카드.. 더보기
전기설비기술기준6 (특수시설) 특수시설 종류 사용전압 전선의 굵기 접지 전기울타리 1차측 250V이하 2mm이상의 경동선 충전전휴200mA 1화충격전기량 3mC 0.1초경과후 10mC이하 유희용전차 1차측400v미만 2차측 직류60v 교류40v이하 절연변압기사용 교통신호등 전차내 승압기 사용시 2차전압 150v이하 교통신호등 2차측 사용전압 300v이하 2.5㎟이하의NR전선 제3종 건조물 다른 시설물등과 이격거리 60cm 케이블30cm이상 조가용선4mm이상의 철선2가닥 전기온돌 대지전압300V이하 허용온도80도 이하 전용개폐기 과전류 차단기 지락차단장치 시설 전기온상 대지전안 300V이하 제3종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 발열선 온도 : 80도 이하유지 전기식온천욕승온기 사용전압 400V 미만 제1종 1차측에 개폐기 및 과전류 .. 더보기
전기설비기술기준5(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1.옥내 전로의 대지 전압의 제한 (1)주택을 제외한 옥내 전로 : 대지전압 300V이하 (2)주택의 옥내 전로 ① 사용전압 400V미만일것(대지전압 300V이하) ② 전로의 입구에는 인체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할것 ③ 백역전등의 전구 소켓을 키나 그밖의 점멸기구가 없는 것일것 ④ 정격소비전력 3kw이상의 기구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로에 전용의 개폐기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 2.저압 옥내배선 (1)굵기 : 2.5㎟ 연동선 이상 1㎟ 이상의 MI 케이블 400V미만인경우 전선의 굵기 전광 출퇴근 표시등 : 1.5㎟ 이상의 연동선 제어회로 : 0.75㎟ 이상의 다심형 캡타이어 케이블 쇼윈도 쇼케이스 배선 : 0.75㎟ 이상의 코드 캡타이어 케이블 3.저압 옥내 간선의 굵기 (1)전동기.. 더보기
전기설비기술기준4(전선로) 전선로 1.풍압하중의 종류별 적용 종별 지역 적용방법 갑종풍압하중 고온계지방 구성재의 수직 투영면적 1 ㎟ 에 대한 풍압을 기초로 하여 계산 을종풍압하중 빙설이 많은저온계 전선 기타 가섭선의 주위에 두께 6mm 비중0.9의 빙설이 부착한 상태에서 갑종풍압하중의 1/2 적용 병종풍압하중 인가 밀집 지역 갑종풍압하중의 1/2을 기준으로 적용 2.지지물의 기초 안전율 (1)일반적으로 2이상이어야 한다 (2)철탑의 경우 이상시 상정하중에 대하여 1.33이상으로 계산한 값과 상시 상정하중에 대해 2이상으로 계산한 값중 큰값 3.지선의 사용 (1)지선의 설치조건 ① 안전율이 목주 A종 지지물의경우 1.5이상 B종의 경우 2.5이상 ② 인장하중이 4.31[kN]이상 ③ 3조 이상의 연선이 소선을 사용 ④ 2.6[mm.. 더보기
전기설비기술기준3(발전소/개폐소) 발전소/개폐소 1.기기의 보호장치 기기의종류 용량 사고의종류 보호장치 발전기 원자력발전소의 비상용 예비발전기를 제외한 모든 발전기수차 압유장치 유압의 현저한 저하 과전류 자동차단장치 500[kVA]이상 수차 압유장치 유압의 현저한 저하 자동차단장치 2000[kVA]이상 수차발전기 스러스트 베어링 과열 자동차단장치 10000[kVA] 이상 내부고장 자동차단장치 10000[kVA] 초과 증기터빈 베어링의 마모 과열 자동차단장치 특별고압변압기 5000[kVA] 이상 변압기의내부고장 자동차단장치 또는 경보장치 10000[kVA]이상 변압기의 내부고장 자동차단장치 타냉식 냉각장치 고장 경보장치 전력용 콘덴서및 분로 리액터 500[kVA]넘고 15000[kVA]미만인 경우 내부고장시 과전류시 자동차단장치 15000..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