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방정식 및 Z 변환
1.선형이고 정계수계에서의상태 방정식 및 출력 방정식
2.단위행렬 : 주 대각원소는 1이고 나머지 원소가 모두 0인 정사각행렬이다.
3.상태천이행렬
(1)
(2)
(3)
(4)
4.특성방정식 :
5.Z변환 : 라플라스 변환함수의 s 대신
6.Z변환의 몇가지 중요한 정리
초기치 정리 |
|
최종치 정리 |
7.Z변환표
f(t) |
F(s) |
F(z) |
1 |
1 |
|
t |
||
8.Z변환법을 사용한 샘플값 제어계의 해석
계의 안정도 |
근의 위치 |
|
s평면 |
z평면상 | |
안정 |
좌반면 |
단위원 내부 |
불안정 |
우반부 |
단위원 외부 |
임계안정 |
허수축 |
단위 원주상 |
따라서 제어계가 안정되기 위해서는 전체 전달함수의 모든 극점이 Z평면의원점에 중심을 둔 단위원 내부에 위치해아 한다.
-----------
제어공학
http://www.pluswithu.com/375 1.제어시스템의 이해
http://www.pluswithu.com/376 2.전달함수
http://www.pluswithu.com/377 3.블록선도와 신호흐름도
http://www.pluswithu.com/378 4.자동제어계의 과도응답
http://www.pluswithu.com/379 5 편차와 감도
http://www.pluswithu.com/380 6.주파수 응답에 의한 해석
http://www.pluswithu.com/381 7.제어계의 안정도
http://www.pluswithu.com/382 8.상태방정식및 Z변환
http://www.pluswithu.com/390 9 시퀀스제어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총정리
'전기기사 > 제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공학9 시퀀스제어 (0) | 2017.03.29 |
---|---|
제어공학7 제어계의 안정도 (0) | 2017.03.16 |
제어공학6 주파수 응답에 의한 해석 (0) | 2017.03.15 |
제어공학5 편차와 감도 (0) | 2017.03.14 |
제어공학4 자동제어계의 과도응답 (0) | 2017.03.13 |